중국 z세대? 새로운 사회적 문화에 대해 알아보자!
중국이야기
2024-02-21
본문
안녕하세요!
코리디지털입니다:)
오늘은 중국 z세대(90년대 중반에서 2000년대 초반에 태어난 사람)들의 사회적 관계 문화에 대해 알아볼 건데요
트렌드를 가장 민감하게 캐치하고 반응하는 세대인 만큼
마케팅을 하기 전 중국의 트렌드 세터들의 문화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 좋겠죠?
코리디지털과 함께 알아봐볼까요~
--------------------------------------------------------
중국 전자통신연구원에서 <중국 신세대 청년들의 관계 문화>라는 인구 통찰 보고서를 발표했는데요
이 보고서엔 특별히 z세대를 중심으로 보다 특별한 연구를 진행했고
'새로움', '사회성', '정체성' 및 '안정감' 네 가지 차원에서
청년들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고 해요
새로움:
자아 정체성 측면에서 신세대 청년들은 MBTI와 같은
새로운 방식으로 자신을 재정의하는 경우가 많았는데요
또한 이런 주제를 자신의 사회적 이슈로 파생하는 것을 좋아한다고 해요~
또 야외 활동 분야에서 중국 신세대 청년들은
citywalk을 비롯한 캠핑, 러닝, 사이클 등 스포츠를 즐겨 한다고 합니다
브랜드 선택에 있어 그들은 과감하게 도전하는 것을 좋아하고
천편일률적인 제품보다 유니크함을 많이 선호한다고 했습니다
신세대 젊은이들은 대게 대중을 따라가는 속성이 있기 마련이나
중국 청년들은 유니크한 제품에 많은 관심을 느껴 이 부분에서 많은 차이가 보인다고 밝혔는데요~~
콘텐츠 소비 분야에서 신세대 청년들은 온라인 핫이슈 등 자극적인 콘텐츠를 즐겨 찾는 것으로
내용보다 제목 혹은 썸네일에 더 관심을 많이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사회성:
신세대 청년들은 자아, 공동체 및 반려동물과의 상호작용 및 연결고리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였고
사회적 정서적 경험과 신체적 정식적 치유에 보다 많은 관심을 보인다고 합니다.
1인 가족 수가 더 늘어나는 추세에 따라 중국 청년들 역시 혼밥, 혼영 등
혼자서 즐기는 프로그램을 더 즐기고 최근에는 혼자서 여행하는 트렌드가 많이 생겨
가족단위의 단란한 분위기를 선호했던 과거의 사회형태와 많이 다른 형태를 띠었습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중국 신세대 청년의 58.9%가 공동 취미를 가진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을 좋아한다고 답했다고 해요~
또한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응답자는 무려 55.9%에 달해
반려동물 관련 콘텐츠가 많이 부상하고 있는 추세라고 합니다
온라인에서는 상호작용, 댓글, 리트윗 등의 형태로 의견 교류하는 것을 선호하며
응답자의 70% 이상이 제품에 대한 대가 없는 리뷰와 의견을 작성한 적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소비자의 관점에서 진실된 피드백을 의향이 있다고 밝힌 점에서 이전 세대와 다른 면모를 보였다고 해요
정체성:
직장, 사회, 민족의 다차원적인 정체성 확립을 갈망하는 신세대들 청년은
자신의 가치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는데 매우 집중하는 것으로 보였고
응답자의 89.3%는 1년 이내에 개인 공부 및 전문 교육을 받은 적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사회적 책임 측면에서 ESG에 따른 사회적 의제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사회적 포용과 환경보호를 지원하는 브랜드 제품을 더욱 선호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외에 소셜 미디어에서 생활 콘텐츠 관련 게시물을 게재하는 것을 선호하고
2023년 10만여 명의 중국 크리에이터들의 데이터가 전년대비 327%나 증가했다고 해요
안정감:
시간, 재산 및 건강에 대한 안정감을 소중하게 생각한다고 밝혔는데요
시간을 조절하는 데 있어 바쁜 젊은이들은 더 편리한 서비스를 구매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으며
스마트 가전, 가사 서비스 및 출퇴근 시간을 최적화할 수 있는 서비스들에 많은 관심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재산 관리 측면에서 그들은 합리적인 소비를 더 중시하고
제품의 가성비를 중요하게 생각했고
중고거래나, 교체 등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는데 재산 관리를 한다고 답했습니다
마지막으로 건강관리에서 최근 부상하는 중국식 건강관리(한방관리)
스트레스 완화 치료 및 건강식품을 통해 체력 향상을 한다고 합니다
오늘은 이렇게 네 가지 차원에서 중국 젊은이들의 문화 및 소비습관 그리고 생활 습관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앞으로의 마케팅 방향성에 더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오늘의 포스팅은 여기까지입니다!
더 많은 중국 마케팅 관련 소식이 궁금하다면!
코리디지털이 바로 답해드리겠습니다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