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오홍슈 보고서: 식품 산업 트렌드에 대해 알아보자!
중국이야기
2024-02-21
본문
안녕하세요
코리디지털입니다:)
오늘은 샤오홍슈와 중국 리서치 데이터 기관에서 공동으로 작성한
<식품 및 음료 산업 통찰 보고서>에 대한 소식 전해드리려고 하는데요
보고서는 18-45세 식품 소비자에 대한 정량적 조사를 기반으로
샤오홍슈 플랫폼 내 식품 및 음료 산업 이슈 및 트렌드와 결합해 소비자 수요 변화를 요약하고
브랜드에 제품 셀링 포인트 및 마케팅 방법에 대한 통찰 연구 보고서를 제공했습니다
많은 기업과 브랜드들이 이런 통계 자료를 기반으로 한 산업 통찰 보고서를 활용해 마케팅 방안을 기획하기도 하는데요
오늘은 코리디지털과 함께 중국 식품 및 음료 산업의 트렌드에 대해 함께 알아보도록 할게요!
2023년에는 1인당 식품 지출이 꾸준히 증가했는데요
그중 스낵류 제품의 시장규모는 매우 안정적으로 이어지고 있었고
건강, 기능 및 중국식 원료의 식품산업이 점차 각광받기 시작했습니다
유제품 업계에선 '우유 산지', '효능' 등 키워드가 소셜 플랫폼에서 핫이슈가 되기도 했고
점차 세분화되는 제품 발전 추세를 보이기도 했습니다
또 음료 제조 업계에서는 탄산음료, 제로슈가 에너지 드링크 시장의 성장 속도가 평균보다 현저히 높아
더 많은 사람들이 '제로슈가'와 같은 트렌드에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았습니다
주류 업계를 살펴보면
여성 소비자가 늘어남에 따라서 '微醺 (알딸딸한 상태)'와 같은 키워드 마케팅의 추세가 계속되고 있다고 해요
중국의 식품 및 음료 업계의 트렌드는 점차 '합리성'을 되찾고 있고
또 다른 한 편으로 '새로운 맛'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는 게 좋을 것 같다는 의견을 내놓았습니다
품질이 보장된 제품을 기반으로 새로운 맛과 경험을 선사한다면
소비자의 수요를 다시 한번 일깨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겠죠???
보고서는 총 네 가지 주요 트렌드를 정리했는데요
1. 합리적인 제품 업그레이드
'건강'에 대한 인식이 점차 보편화되면서 소비자가 식품 및 음료의 성분과 기능 방면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데요
천연재료와 신선함 그리고 유기농 키워드를 내세워 제품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는 게 좋다는 의견입니다
또 브랜드는 제품의 성분표를 더욱 투명하게 공개해
건강에 있어 더욱 솔직한 모습으로 소비자들에게 다가가는 게 중요하다고 집었는데요
무엇보다 브랜드와 소비자의 관계가 가까울수록
브랜드의 수명이 훨씬 길어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2. 문화 공감대 형성
중국은 특히나 역사와 문화를 매우 중요시하는 특징이 있는데요
예를 들어 어린 시절의 맛을 그대로 살린 신제품이나
유서 깊은 브랜드가 출시한 제품은 중국에서 매우 각광받는다고 합니다
31-35세의 Y 세대 소비자는 어린 시절의 맛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고
18-25세의 젊은 층은 익숙한 브랜드에 대해 재구매 의향이 더 높을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또 중국 고유의 특성과 지역의 문화를 담아낸 식품 및 음료는
소비자의 문화적 공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어 훨씬 경쟁력이 있다고 전했습니다
3. 즐거움, 재미, 유머 요소
DIY(Do It Yourself) 제품들이 의외로 18-25세 소비자에게 각광받았는데요
그 이유는 바로 '소셜 미디어'에 있었습니다
직접 만든 제품을 소셜 미디어에 공유해 더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편의점 음료를 사용해 직접 칵테일을 조제하거나
집에서 만드는 나이차 레시피를 공개하는 소셜미디어 게시물은 엄청난 조회 수를 자랑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따라서 브랜드는 이런 신세대 아이디어를 채택해
'새롭게 먹는 방식'에 대해서 연구를 해봐도 좋을 것 같단 생각이 듭니다
4. 정서적 치유
음식은 대게 많은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가져다 주죠
데이터에 따르면 소비자의 91%가 정서적인 지지가 필요할 때 음식을 섭취한다고 답했다고 해요
그중 90년대 생 중국 1선 도시 소비자들은 음식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한다고 했습니다
따라서 브랜드는 소비자가 제품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정서적 지지를 셀링 포인트 삼아
새로운 마케팅 방안을 기획해 보는 것도 좋다고 제안했습니다
이런 트렌드를 토대로, 브랜드들은 현재의 전략을 재평가해
새로운 아이디어와 접근 방식을 탐구해 보는 것 또한 좋을 것 같습니다
중국의 동적인 식품 및 음료 산업에서 소비자의 니즈에 민감하게 대응하고 싶은 분들은
중국 마케팅의 전문가 코리디지털이 도와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