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오홍슈 마케팅하기 전 반드시 해야 하는 소비자 분석!
중국이야기
2024-04-19
본문
안녕하세요
코리디지털입니다
오늘은 최근 샤오홍슈가 내놓은 보고서에 대해 소개해 드리려 합니다!
샤오홍슈는 씨딩 요소에 있어 '사람'에 대한 이해가 가장 중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해냈는데요
과연 어떤 말인지 함께 알아볼까요?
마케팅과 씨딩의 상관관계에 있어 다양한 연구들이 있었는데요
샤오홍슈가 찾은 해답은 바로 '사람'에 대한 이해입니다
이번 보고서에서 샤오홍슈는 중국 사람의 생활방식을 탐구해
브랜드가 소비자의 실제 생활 모습과 소비 특성을 더 깊이 이해하도록
정확하고 효율적인 솔루션을 제공해 준다고 해요
중국 사회의 변화와 소셜 미디어 플랫폼의 변화에 따라
중국 소비자는 소비관에 있어 더욱 성숙해졌다고 하는데요
이것은 소비 선택이 더 능동적이고 세분화되었다는 의미기도 합니다
따라서 정확한 소비 시나리오를 파악하고 있는 게 굉장히 중요하다고 해요
알맞은 소비 시나리오에 따라 좋은 제품 또는 브랜드에 대한 가치를 더욱 제고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 방법에 대해 샤오홍슈가 내놓은 해답은
‘인구에 대한 사회적 신분 분류 혹은 라벨링 등 은 '사람'에 대한 깊은 이해가 불가능하다‘고 해요
따라서 '생활방식'에 대한 더 세밀한 분석으로
제품 혹은 서비스의 기능, 감정 또는 문화적 가치에 대한 심층적인 소비 동기를 반영해 내야 한다고 해요
이런 방법을 통해야 브랜드가 '사람'을 이해하고
'사람 x 수요 x 제품' 전체의 카테고리를 파악할 수 있다고 합니다
소비 동기로 살펴보았을 때 브랜드는 생활방식과 관련된 더 많은 잠재적 소비 시나리오를 찾아낼 수 있고
더 넓은 범주의 소비자의 소비 기회를 공략할 수 있다고 해요
예를 들어 수행 수련 관련 여행 상품 마케팅을 기존 라벨링 방법으로 타겟팅 했다면
여행 계획이 있거나 여행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 밖에 타겟할 수 없었겠죠
하지만 생활방식에 대한 연구가 충분하다면
특정 문화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나 일본, 라틴 아메리카 등 특정 해외 목적지를 여행한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모두 타겟할 수 있어
정확도가 훨씬 올라간다는 장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 한편으로 생활방식에 대한 연구는 브랜드에게 복잡한 소비 행동과 심리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고
보다 구체적인 '사람'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합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더 정확한 정서적 감정 마케팅에 강하다고 하는데요
예를 들어 고급 가전에 대한 수요가 있는 사람들은
단순 가전의 퀄리티를 보고 구매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또 어떤 사람은 개인의 미적감각만을 통해 제품 구매하는 경우도 많다고 해요
사용자의 커뮤니티 내 공유 및 상호 작용 행동에 따라
샤오홍슈는 사회인류학의 필드 연구 및 컨설팅 모델을 결합해서
중국 소비자의 생활 방식에 대한 연구를 수개월 동안 이어왔다고 하는데요
빠르게 변하는 중국 시장에서 끊임없는 연구는 필수 인 것 같습니다
마케팅을 해야하는데 어떻게 타겟팅하는지 모르겠다면
이 연구결과가 많은 브랜드에게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이 외에 샤오홍슈 관련 더 많은 소식이 궁금하시다면
코리디지털을 찾아주세요:)
오늘의 포스팅은 여기까지입니다!